
* 타 블로그 글을 참조 한 것이 아닌 독학을 통해 이해한 내용을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, 지적은 성대히 환영합니다 ! * 스택 자료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겠다. 스택 자료구조의 대표적인 특징은 후입선출의 개념이다. 그림처럼 A부터 D 까지 차례대로 쌓인다. 물론 실제 데이터가 저런 모양으로 쌓이는건 아니고 이해를 돕기위해 저렇게 그린다. 맨 위의 요소를 top 이라 부른다. 차례대로 쌓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top 에서만 요소를 추가하고 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한다. 요소를 추가할 땐 push , 뺄 땐 pop 을 사용하여 요소를 제거한다. 이러한 자료구조는 가장 최근의 자료를 찾아오거나 게임에서 히스토리를 유지하고 이를 무를때 사용할 수 있다. 요소를 추가하고 빼는 코드를 봐보자. 먼저 스택 배열에 조..

* 타 블로그 글이 아닌 독학을 통해 이해한 내용을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, 지적은 성대히 환영합니다 ! * 링크드리스트 LinkedList 에 대하여 알아보겠다. 링크드리스트와 배열의 가장 큰 차이는 논리적과 물리적 위치가 다르다는 것이다. 선형구조이고 , 자료가 추가 될 때 마다 추가로 메모리를 할당 받는다. 그렇기 때문에 위치가 다를 수 있다. 링크드리스트의 장점은 추가나 삭제의 비용이 적다는 것이다. 단점은 검색 탐색의 비용이 높다는 점 이다. LinkedList 에서 맨 앞의 노드를 헤드라 칭한다. 각 노드(요소) 간에 링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요소를 추가 할 땐 들어갈 위치 앞의 요소 (전 노드)를 알아야한다. 먼저 MyListNode 클래스다. public class MyListNode { p..

* 타 블로그 글이 아닌 독학을 통해 이해한 내용을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, 지적은 성대히 환영합니다 ! * 먼저 Array Array 배열 파이썬으로 알고리즘 공부를 하면서 체계적이진 않지만 한번 훑은 적이 있었다. 그렇지만 인강을 들으면서 좀더 자세히 이해를 해보려 한다. 배열(Array) 은 선형구조 로 이루어져 있다. 선형구조란 나열 되어있는 데이터 간의 관계가 1대1 인 것을 말한다. 또한 물리적인 위치와 논리적인 위치가 같다. 이 말은 , 자료들이 한 줄로 나열되어 있을 때 , 첫번째 자료 다음엔 두번째 자료 가 있다는 물리적인 위치와 , 실제로 자료가 위치해 있는 논리적인 위치가 같다는 말이다. 배열 자료구조의 장점은 그러한 위치가 정확히 정해져있기 때문에 검색, 탐색등을 할 때 매우 빠르고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백준 그림 자바
- k8s
- ECR
- Java #코린이 #자바
- 자바
- java #스프링 #spring #server
- 무중단배포
- dfs
- AWS
- EC2
- EB
- Java #객체 #자바기초 #자바
- 백준
- 프로그래머스
- 단지번호붙이기 JAVA
-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 자바
- 백준 상자넣기
- 코딩테스트
- StatefulSet
- 행렬 테두리 회전하기 자바
- 단지번호붙이기 자바
- k8s object
- 구간합구하기
- docker
- 쿠버네티스 오브젝트
- 쿠버네티스 개념
- java
- 백준 1965 풀이
- 자료구조
- 백준 상자 넣기 자바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